
가뭄특화연구센터란?
가뭄예측 원천 기술 개발
연구/모니터링/예측 통합
선제적 가뭄대응 체계
차세대 전문인력 배양
핵심 연구 분야
가뭄전망모형 및 가뭄위험도 평가기술 개발
기상가뭄 장기예측체계 개발
가뭄 발생/지속/강도결정 역학 규명을 통한 가뭄 장주기 개념모델 개발
Soil Moisture 10day

토양수분 모니터링
최근 10일 평균된 한반도(120˚E~135˚E, 30˚N~45˚N, 좌)지역 토양수분 아노말리. 토양수분은 기상청 전지구 모델인 Glosea6의 지면 모델(Joint UK Land Environment Simulator, JULES)을 구동하여 도출. 지면 모델에 사용된 대기 강제력은 ECMWF Reanalysis version 5 (ERA5)의 1-hourly data를 6-hourly 평균하여 처방하였으며, 0.5˚ 공간해상도를 가짐. ERA5 대기강제력 중 강수는 보다 정확한 값으로 처방하기 위해 관측기반 강수 데이터 Global Precipitation Climatology Project (GPCP) 를 보정하였음. 각 격자의 가뭄 정도를 United States Drought Monitoring Center (USDM) 의 토양수분 퍼센타일에 기준 따라 scatter plot으로 나타냄.
10day Monitoring

토양수분 모니터링
최근 10일 평균된 동아시아(90˚E~150˚E, 20˚N~65˚N, 우)지역 토양수분 아노말리. 토양수분은 기상청 전지구 모델인 Glosea6의 지면 모델(Joint UK Land Environment Simulator, JULES)을 구동하여 도출. 지면 모델에 사용된 대기 강제력은 ECMWF Reanalysis version 5 (ERA5)의 1-hourly data를 6-hourly 평균하여 처방하였으며, 0.5˚ 공간해상도를 가짐. ERA5 대기강제력 중 강수는 보다 정확한 값으로 처방하기 위해 관측기반 강수 데이터 Global Precipitation Climatology Project (GPCP) 를 보정하였음. 각 격자의 가뭄 정도를 United States Drought Monitoring Center (USDM) 의 토양수분 퍼센타일에 기준 따라 scatter plot으로 나타냄.
FWI (+1 month)

산불 위험도(Fire Weather Index, FWI)
1개월 예측 산불 위험도(Fire Weather Index, FWI), FWI는 기상 변수를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계산 방법은 캐나다 산불 위험도 계산 방법을 따름(https://cwfis.cfs.nrcan.gc.ca). 해당 결과는 본 연구센터의 통계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된 결과임.
Soil Moisture Forecast (single model)

토양수분 예측 시계열
우리나라(125˚E~130˚E, 33˚N~40˚N) 지역 평균된 토양수분 재분석 아노말리(검은 선), 6개월 예측 아노말리(빨간 선) 시계열. 토양수분 모니터링은 현재 월 기준 이전 월의 26일까지 산출하며, 10day-monitoring 방법과 같음. 토양수분 예측은 해당 월 기준 이전 월의 21일 00시부터 25일 18시까지 6시간 간격으로 예측을 시작한 CFSv2 (Climate Forecast System version 2)의 대기 강제력에 APCC MME의 강수와 기온을 보정하여 총 20개 앙상블을 평균하여 산출. 최근 20년 기간의 토양수분 80퍼센타일의 대기강제력을 처방한 Wettest scenario (파란 선), 20퍼센타일의 대기강제력을 처방한 Driest scenario (갈색 선). 시간에 따른 가뭄 정도는 미국의 토양수분 모니터링 센터의 기준을 따름(United State Drought Monitoring center, USDM https://droughtmonitor.unl.edu)
Soil Moisture Forecast (multi model ensemble)

앙상블 평균 토양수분 예측
다중 지면 모델 예측 결과는 다섯개의 지면 모델(JULES, Noah-LSM, Noah-MP, Mosaic, CLSM)의 토양수분 예측 앙상블을 모두 평균하여 산출함. 예측 앙상블의 수는 개별 모델 최대 20개로, 총 최대 100개의 앙상블을 가질 수 있음. 동아시아 지역(90˚E~150˚E, 20˚N~65˚N)의 앙상블 평균 토양수분 아노말리를 나타냄. 매월 26일부터 +5개월 예측 결과를 계산. 앙상블 평균 결과는 매월 15일 이내에 산출하여 업로드.

앙상블 평균 토양수분 시계열
우리나라(125˚E~130˚E, 33˚N~40˚N) 지역의 앙상블 평균 재분석 토양수분(검은 선, 스프레드: 회색 면), 6개월 앙상블 평균 예측 아노말리(빨간 선, 스프레드: 연한 면) 시계열. 다중 지면 모델 시스템 기반 토양수분 모니터링은 현재 월 기준 이전 월의 26일까지 산출하며, 위의 단일모델 시스템과 동일. 퍼센타일 또한 다섯개 지면 모델의 앙상블 평균 값으로 산출 20퍼센타일의 대기강제력을 처방한 Driest scenario(갈색 선). 시간에 따른 가뭄 정도는 미국의 토양수분 모니터링 센터의 기준을 따름 (United State Drought Monitoring center, USDM https://droughtmonitor.unl.edu)